티스토리 뷰
-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은 IP 기반 패킷을 사용
- 데이터를 수신지 컴퓨터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 수신지는 IP 주소라는 식별자 정보로 구분한다.
- IPv4, IPv6, ICMP(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Pv4의 모든 주소가 소진되어 IPv4 할당이 중지되었으며 IPv6가 등장하여 사용중이다.
IPv4

- 이미지 출처: 위키(https://ko.wikipedia.org/wiki/IPv4)
-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으로 나뉜다. 호스트 영역과 네트워크 영역에 따라 클래스가 구분된다.
- A클래스는 맨 앞자리 값이 예약되어 있으며 2,3,4번째 자리를 자유롭게 부여가능하다
- B는 둘째자리까지, C는 셋째자리까지 예약되어 있다.
-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클래스)를 구분한다. (사용자가 자유롭게 할당할 수 있는 부분을 0, 이미 예약된 부분을 1로 나타낸다)
127.0.0.1/8 -> /뒤의 8이 서브넷마스크
- 127.0.0.1은 어느 클래스에도 해당되지 않음
- 서브네팅은 한정된 주소를 더 나눠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해당 클래스 망이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 동일 네트워크에 대한 구분은 IP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구분
- IP주소와 서브넷 IP 이진 표현을 AND 연산하여 실제 서브넷(부분망) 위치를 알아낸다.
- 참고링크: https://engkimbs.tistory.com/622
- 각 NetworkID에서 첫번째 주소는 network address, 마지막주소는 broadcast로 사용된다.
ICMP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는 신뢰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알리기 위한 프로토콜
-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
- 오류메세지 등을 전달받는데 사용
- Ping, Tracert/Tracerout 등이 있음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IP로 통신할 때, 목적지 주소와 매핑된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서 사용
TTL
- TimeToLive
- 패킷이 네트워크 상에서 얼마나 오래 살아남을 수 있는지 알려주는 값
- ICMP로 시작을 알림
- 8비트로 0~255 값이며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1씩 줄어듦 (라우터를 255개 넘게 통과할 수 없다)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 (0) | 2021.08.01 |
---|---|
소켓과 TCP/IP (0) | 2021.07.28 |
[스터디]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0) | 2021.07.27 |
토큰 인증방식(+ 쿠키와 세션 추가내용) (0) | 2021.03.09 |
쿠키와 세션 (0) | 2021.02.2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Transaction
- OS
- 모의면접준비
- 글쓰기미션
- JS
- javascript
- JPA
- 학습로그
- 우아한테크코스
- 카카오
- 월간회고
- 마스터즈코스
- 인증
- 내부코드
- Spring
- python
- CS
- TCP/IP
- 회고
- 객체지향
- 운영체제
- 개발공부일지
- 알고리즘
- java
- DB
- TIL
- 코드스쿼드
- 우테코수업
- 네트워크
- Rea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