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hapter1

S1

  • 예시: http: + // + < 웹 서버명 > + / + < 디렉토리명 > + / + ... + < 파일명 >

  • Url 맨 앞의 있는 문자열은 < 프로토콜 종류 >을 나타낸다. (예시: http:)

  • // 다음은 < 웹 서버명 > 를 나타낸다.

  • 그 뒤의 / 은 < 디렉토리명 >를 나타낸다.

  • 맨 마지막은 < 파일명 > 를 나타낸다.

    (맨위에 예시는 아래 문제를 풀기 위한 도움)

S2

  • DNS 서버에 조회 메세지를 보내는 클라이언트는 < DNS 리졸버 > 또는 < 리졸버 >라고 부른다. 이것의 실체는 Socket 라이브러리에 들어있는 부품화한 프로그램이다. Socket 라이브러리는 < OS >에 포함되어 있는 네트워크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서 호출하기 위한 부품을 모아 놓은 것이다.

    (각 빈칸에 다 다른 단어가 들어감)

S3

  • DNS 서버에 등록한 정보에는 도메인명이라는 < 계층적 >구조를 가지는 이름이 붙여져 있다. 이름은 점으로 구분된다. 가장 오른쪽에 위치한 것이 < 상위 >계층을 나타낸다.

S4

  • < 서버 >측에서 먼저 소켓을 만들고 < 클라이언트 >에서 연결하기를 기다린다. 소켓을 만들고 연결하여 데이터 송수신, 말소까지 과정을 실행하는 것은 < OS 내부의 프로토콜 스택 > 이다.

Chapter2

S1

  • < netstat >명령어는 소켓의 내용을 표시하는 명령어 이다. < netstat > -ano 옵션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소켓 정보에서
  • Local Address 는 < netstat >명령어를 실행한 기계 자체 (로컬측)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LAN 어탭터에서 할당받은 IP주소: 포트번호 정보가 나타난다. 이때, 0.0.0.0은 특정 IP 주소와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 Foreign Address는 통신 상대측(원격)의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나타낸다. UDP의 경우 상대측의 주소나 포트를 연결하지 않으므로 *:* 가 나타난다.

S2

  •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기동 직후에 소켓을 만들고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을 기다리도록 만들어져 있다.
  • 제어정보를 패킷의 맨 앞부분에 배치하는 곳부터 < 헤더 >라고 부른다. < 헤더 >의 형태로 제어정보를 주고 받는다.

S3

  • 데이터를 송신 후, ACK 신호가 돌아오지 않으면 상대방이 데이터를 제대로 받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오류 발생 상황을 의미한다. 오류 발생 상황시 LAN 어댑터, 버퍼, 라우터 모두 회복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 ACK 번호가 돌아오는 기다리는 시간을 ( 타임아웃 값 )이라고 한다.

S4

  • 이 부분을 읽으면서 궁금증이 든 내용은 "서버와의 대화가 끝나면 소켓을 사용하여 서버와 대화할 수 없게 됩니다. " 이었다. 소켓이 말소되면 통신이 끊어지는 것인데 어떻게 계속 통신할 수 있는 것일까?
  • 책 뒷부분에도 나오지만 결론은 서버는 대기소켓을 항상 열어둔다. 클라이언트에서 소켓을 요청이 들어오면 대기소켓을 복사하여 연결하는 소켓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와 연결한다.

S5

  • 이더넷의 세가지 성질(165pg)
  1. < MAC >헤더의 수신처 < MAC >주소에 기억된 상대에게 패킷을 전달
  2. 송신처 < MAC >주소로 송신처를 나타낸 후
  3. < 이더 >타입으로 패킷의 내용물을 나타냄

S6

  • 패킷이 짧은 경우 유실된다 하더라도 패킷 전체를 보내도 낭비가 아니므로 < UDP >를 사용한다.

Chapter3

S1

  • 신호가 < 리피터허브 >에 도착하면 LAN 전체에 신호가 흩어진다.
  • 이더넷의 기본원리 : 전체에 패킷 신호를 뿌리고 수신처 MAC 주소에 해당하는 기기만 패킷을 수신한다.

S2

  • < 스위칭 >허브는 < MAC >주소표의 내용을 갱신하는 동작도 한다. < MAC > 주소표에 등록된 정보는 그대로 두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삭제된다.

S3

  • 라우터는 < IP >개념에 기초하여 만들어졌고, 스위칭허브는 < 이더넷 >에 기초하여 만들어 졌다. 즉 라우터는 < 패킷을 운반 >하는 일을 스위칭허브에게 의뢰한다.(238)

참고

  • Chapter3 일부와 Chapter4의 내용은 물리계층내용이라 스터디에서 건너뜀

Chapter5

S1

  • 방화문의 역할?
  • 관문의 역할을 하여 특정 서버에서 동작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엑세스하는 패킷만 통과시키고, 그 외의 패킷을 차단하는 역할

S2

  • 방화벽의 종류로 패킷 필터링형을 많이 사용한다. 패킷 필터링의 조건을 설정할 때는 < 패킷의 흐름 >에 착안한다. 웹 서버를 종점으로 조건을 설정한다. 이외의 통신 가능성에 따라 포트번호, TCP 컨트롤비트등을 추가하여 조건을 설정한다. 이런경우, DNS 등 UDP 통신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S3

  • Ip 정보가 계속 바뀌면 전후 관계 여부를 전혀알 수없다.전후 관련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하는 방법 중 하나는?
  • Http 헤더 필드에 정보넣어줌(쿠키)

S4

  • 캐시서버가 사용하는 구조는?
  • 프록시 구조
  • 이것은 웹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엑세스 동작을 중개
  • 중개시 웹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저장해두고 웹서버를 대신하여 반송하기도 함

S5

  • 물리적으로 사용자에게 가까운 장소에 캐시서버를 설치하고 웹 서버 운영자에게 대출하는 서비스는?
  • CDS 콘텐츠 배포 서비스
  • 가장 가까운 ip 를 알기 위해사용하는 방식은?
  • 서버측의 DNS 서버에 경로표를 저장한다.

Chapter6

S1

  •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구조는 대칭으로 만들면 클라이언트나 서버여부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칭으로 만들 수 없는 부분이 접속동작 이다.
  • 서버측에서는 접속을 대기하는 상태의 소켓을 생성한다.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들어왔을 때 일어나는 동작은?
  • 대기소켓을 복사하여 새로운 소켓을 생성한다. 새로운 소켓으로 클라이언트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기존 대기 소켓은 대기상태로 계속 유지하며 클라이언트의 다른 접속 요청을 기다린다.

S2

  • 패킷이 서버에 제대로 도착하면 패킷에서 데이터 조각을 추출하여 < 수신버퍼 >에 저장한다.
  • 데이터 조각을 연결하고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동작은 < 데이터 패킷이 도착할 때마다 실행된다. >

S3

  • 웹서버에서 공개하는 디렉토리는 디스크의 실제 디렉토리가 아니라 가상으로 만든 디렉토리이다.
  • 가상 디렉토리의 경로명이 URI가 된다.
  • 따라서 서버 프로그램이 작동할 때 가상 디렉토리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 조건에 따라 동작하게 엑세스 제어를 한다. 엑세스 제어를 할때, 주로 설정하는 조건 3가지는?
  • 클라이언트주소, 클라이언트 도메인명, 사용자명과 패스워드

S4

  • html 문서를 받으면 태그를 해석하여 화면 배치를 하고 화면에 표시한다. 실제 화면 표시 동작을 담당하는 것은? < OS >

정리

  • 약 2달동안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를 읽고 퀴즈를 내는 스터디를 진행했다.
  • 그 동안 내가 냈던 퀴즈들을 한 페이지에 정리하였다.
  • 아직도 네트워크는 많이 어렵지만, 모호했던 개념들을 읽고 같이 토론해보면서 조금은 더 이해할 수 있게 된 듯 하다.
  • 번외편으로 www.google.com 을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일에 대해 정리할 예정이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