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계층을 지나면서 해당되는 정보가 덧붙는다. 이렇게 캡슐화를 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받는 곳에는 캡슐화된 정보를 각 계층에서 하나씩 떼어내면서 역캡슐화로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각 단계를 거치며 데이터가 원하는 곳에 전송될 수 있게 정보가 덧붙게 되고, 그 정보에 맞게 데이터가 보내지게 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계층 모델 중 트렌스포트 이하에서는 전송을 담당하므로 데이터 전송을 제외한 영역을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용자가 직접 체감하는 계층이다.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프로토콜] - HTTP : 웹에서 사용자와 서버 사이에서 웹 페이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 POP, SMTP, IMAP : 메일을 송수신, 보관 - SMB, AFP : LAN 안에서 파일 공유 - FTP : 서..
- 어제 못한 정리못한 내용 복습 : nauni.tistory.com/91 CS06 - OS, 프로세스와 스레드 용어정리 프로세스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메모리에 정보가 올라와 CPU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되어 OS가 관리하는 상태이다. 스레드 프로그램의 실행 단위이다. 프로세스에서 실제 nauni.tistory.com 생각보다 정리하는데 오래걸렸다. 자꾸 당일 정리가 안되는 게 좀 아쉽지만.. 정리하면서 어제 했으면 못 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도 어렵지만 한 번 정리하고 지나가서 조금은 정리된 것 같다! 😀 - 네트워크 시리즈 : nauni.tistory.com/93 네트워크 시리즈 1. Intro 네트워크 통신 2개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통신하는 것을 네트워크 통신이라고 한다..
문제주소 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4?language=python3 내 풀이 import re from itertools import product def solution(user_id, banned_id): answer_list = list() banned_list = [] banned_length = len(banned_id) for banned in banned_id: banned = banned.replace("*", ".") p = re.compile(banned) id_list = [] for user in user_id: if len(banned) == len(user) and p.match(user): id_list.append(u..

네트워크 통신 2개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통신하는 것을 네트워크 통신이라고 한다. Client와 Server의 request, response로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진다. 인터넷 망을 사이에 두고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것을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통신방법이다. 이때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위는 패킷이다.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각 통신하는 방법의 약속을 지정해야한다.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지켜야할 절차나 규약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인터넷 통신 : IP(인터넷 프로토콜) IP란 인터넷 프로토콜로 인터넷 네트워크의 통신규약이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은 지정한 IP주소(IP address)에 패킷단위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IP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

용어정리 프로세스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메모리에 정보가 올라와 CPU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되어 OS가 관리하는 상태이다. 스레드 프로그램의 실행 단위이다. 프로세스에서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위이다. (기본적으로 프로세스가 있다는 것은 1개 이상의 커널레벨 스레드를 가진다는 것과 동일하다.) 스레드는 같은 프로그램 내의 code, data, heap 영역 등 주소공간의 일부를 공유한다. PC(Program Counter), 레지스터셋, stack 영역을 독자적으로 가진다. 따라서 context switch가 일어날 때, 교체되는 자원이 적다. OS가 존재를 알고 관리하는 커널 레벨 스레드와 OS가 존재를 모르고 프로세스가 자체 관리하는 사용자 레벨 스레드로 나뉜다. Task 프로세스를 추상..
- 어제 알게 된 내용 정리 : nauni.tistory.com/89 내가 잘못 알고 있던 OS 지식 1. 운영체제 입장에서 보면 프로세스도 스레드의 일종이 아닐까? --> NO 헷갈렸던 부분이 커널 레벨 스레드라는 부분을 읽고 프로세스도 스레드의 일종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됐었다. 스레드는 커 nauni.tistory.com 잘못 알고 있던 개념이 많더라ㅠㅠ 그래도 조금이라도 바로잡을 수 있어서 좋았다. - 마스터즈 코스 수업듣고 학습정리했다. OS에 대한 내용이 많았던 것 같다. 수업내용과 학습정리했던 내용들을 정리해서 CS06 글을 작성하려고 했는데.... 오늘따라 피곤해서 내일해야겠다. 미션 제출까지만 했다. - 네트워크 시리즈 안 했다..ㅎㅎ - CS50 스터디 라이브강의 8시부터 들을 예정이다..

1. 운영체제 입장에서 보면 프로세스도 스레드의 일종이 아닐까? --> NO 헷갈렸던 부분이 커널 레벨 스레드라는 부분을 읽고 프로세스도 스레드의 일종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됐었다. 스레드는 커널 레벨 스레드, 사용자 레벨 스레드로 나눌 수 있다. 커널 레벨 스레드는 OS가 스레드의 존재를 알고 직접 관리하는 스레드이고, 사용자 레벨 스레드는 OS가 스레드의 존재를 모르고 프로세스 자체에서 관리하는 스레드이다.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커널 레벨 스레드가 생성된다. 각종 설명을 듣고 내가 다시 이해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커널 레벨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커널과 소통하는 창구와 비슷하다고 이해했다. 커널 레벨 스레드가 유효성 있게 사용되는 환경은 멀티코어 환경에서다. CPU는 한 번에 하나의 ..
- 네트워크 시리즈 아침에 1/3~ 반 정도 작성했는데 오후에 시간되면 마저 작성하려고 했는데.. 운영체제에 대한 개념을 바로잡느라 시간이 다갔다. 😂 아직은 단순히 네트워크에 작지만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로 만족해야겠다;; - 마스터즈 코스 JVM 공부 : nauni.tistory.com/87 JVM(Java Virtual Machine) 운영체제(OS)에 독립적인 Java 자바 프로그램 실행은 JVM을 사용하여 운영체제에 독립적으로 실행가능하다. JVM이 사용자 프로그램과 OS 사이에서 일종의 번역기능을 담당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nauni.tistory.com 미션이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관한 내용인데, 메모리 구조가 궁금해서 찾다가 JVM을 공부하다가 오전 시간이 다 갔다. 오후에는 그동안 운..
- Total
- Today
- Yesterday
- TIL
- TCP/IP
- JS
- Spring
- 코드스쿼드
- 알고리즘
- 월간회고
- 운영체제
- 모의면접준비
- python
- React
- 카카오
- 우아한테크코스
- Transaction
- DB
- 마스터즈코스
- 회고
- 객체지향
- 네트워크
- OS
- JPA
- 내부코드
- 글쓰기미션
- 우테코수업
- 개발공부일지
- java
- 학습로그
- CS
- javascript
- 인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