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통신 2개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통신하는 것을 네트워크 통신이라고 한다. Client와 Server의 request, response로 네트워크 통신이 이루어진다. 인터넷 망을 사이에 두고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것을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통신방법이다. 이때 데이터를 주고 받는 단위는 패킷이다.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각 통신하는 방법의 약속을 지정해야한다. 네트워크 통신을 할 때 지켜야할 절차나 규약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인터넷 통신 : IP(인터넷 프로토콜) IP란 인터넷 프로토콜로 인터넷 네트워크의 통신규약이다. 인터넷 프로토콜의 역할은 지정한 IP주소(IP address)에 패킷단위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IP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

용어정리 프로세스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메모리에 정보가 올라와 CPU가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되어 OS가 관리하는 상태이다. 스레드 프로그램의 실행 단위이다. 프로세스에서 실제 작업을 수행하는 단위이다. (기본적으로 프로세스가 있다는 것은 1개 이상의 커널레벨 스레드를 가진다는 것과 동일하다.) 스레드는 같은 프로그램 내의 code, data, heap 영역 등 주소공간의 일부를 공유한다. PC(Program Counter), 레지스터셋, stack 영역을 독자적으로 가진다. 따라서 context switch가 일어날 때, 교체되는 자원이 적다. OS가 존재를 알고 관리하는 커널 레벨 스레드와 OS가 존재를 모르고 프로세스가 자체 관리하는 사용자 레벨 스레드로 나뉜다. Task 프로세스를 추상..

1. 운영체제 입장에서 보면 프로세스도 스레드의 일종이 아닐까? --> NO 헷갈렸던 부분이 커널 레벨 스레드라는 부분을 읽고 프로세스도 스레드의 일종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됐었다. 스레드는 커널 레벨 스레드, 사용자 레벨 스레드로 나눌 수 있다. 커널 레벨 스레드는 OS가 스레드의 존재를 알고 직접 관리하는 스레드이고, 사용자 레벨 스레드는 OS가 스레드의 존재를 모르고 프로세스 자체에서 관리하는 스레드이다.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커널 레벨 스레드가 생성된다. 각종 설명을 듣고 내가 다시 이해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커널 레벨 스레드는 프로세스가 커널과 소통하는 창구와 비슷하다고 이해했다. 커널 레벨 스레드가 유효성 있게 사용되는 환경은 멀티코어 환경에서다. CPU는 한 번에 하나의 ..
일급함수 일급함수란 값으로 함수를 다루는 것을 의미한다. 순수함수(Pure function) 동일한 input이 주어질 때, 동일한 output이 나오는 함수를 순수함수라고 한다. 순수함수는 함수 내부에서 외부값을 참조하지 않는다. 오직 주어진 인자에 대해서만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과 예측이 가능하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순수함수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순수함수는 테스트하기에 매우 용이하다. 고차함수(Higher-order function) 함수를 인자로 전달 받거나, 함수를 return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중접되어 있는 함수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함수를 값으로 다루기 때문에 parameter나 return 값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함수형 프로그래..
목록 운영체제 시리즈 1.Intro 운영체제 시리즈 2.시스템 구조 운영체제 시리즈 3. 프로그램 실행 운영체제 시리즈 4. 프로세스(Process) 운영체제 시리즈 5. 프로세스 관리(Process Management) 운영체제 시리즈 6. CPU Scheduling 운영체제 시리즈 7. Synchronization-1 운영체제 시리즈 8. Synchronization -2 운영체제 시리즈 9. Deadlock 운영체제 시리즈 10. Memory management -1 운영체제 시리즈 11. Memory management -2 운영체제 시리즈 12. Virtual memory 운영체제 시리즈 13. File Systems 운영체제 시리즈 14. File System Implementation 운영체..
Web caching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터넷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주요 기술이다. 웹 캐싱이란 웹 사용자에 의해 빈번히 요청되는 데이터를 사용자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웹캐시 서버에 보관해 빠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기법이다. 컨텐츠 전송 네크워크 (CDN: 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의 활성화로 거리에 따른 캐싱 기법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웹 캐싱 기법은 웹 캐싱만을 담당하는 프락시서버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서비스 지연시간을 줄이고, 네트워크 대역폭 절약, 웹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웹 서버쪽에서는 역방향 프락시 캐시가 사용된다. 웹 캐싱에서는 웹 캐시 교체 알고리즘과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기법이 필요하다. 웹 캐시 교체 알고리즘 ..
*이 글은 객체지향과 관련된 개념을 지금 수준에서 제가 이해한 내용을 작성한 글입니다. 실제 내용과는 상당히 다를 수 있습니다~! 😀 클래스와 오브젝트, 인스턴스 - 클래스 : 내가 생각하는 클래스는 essence(본질)이다. 인스턴스로 만드려는 각 특성의 본질을 뽑아 정의한 것이다. - 오브젝트 : 객체는 구체화 된 실체(대상)이다. 자바에서는 인스턴스를 오프젝트라고 한다. - 인스턴스 : 클래스를 구체화한 대상이다. 상속과 다형성 - 상속 : 부모의 성질을 물려받는 것이다. 클래스가 essence였다면 상속되는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들의 essence이다. 한 번 더 클래스의 공통되는 본질을 뽑아낸 것을 부모 클래스로 만들어 상속하게 된다. - 다형성 : 말 그대로 다양한 형(타입)이 사용할 수 ..

Disk Structure Logical block : 디스크 외부에서는 디스크는 일정한 크기의 정보저장공간을 가진 1차원 배열로 취급한다. 논리블럭 단위로 저장되고 전송된다. Sector : 논리블록이 저장되는 디스크 내부의 물리적 위치를 섹터라고 하며 디스크 관리의 최소단위이다. 논리블럭 하나가 섹터 하나와 1:1로 매핑되어 있다. sector 0는 초외곽 실린더의 첫 트랙에 있는 첫번째 섹터이다. platter : 하나의 디스크에서 원판은 하나 또는 여러개 일 수 있다. track : 각 원판은 track으로 구성된다. cylinder : 상대적 위치가 동일한 트랙의 집합을 의미한다. arm :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서 arm이 해당 섹터가 위치한 실린더로 이동한 뒤 원판이 회전한다. 회전하면서 ..
- Total
- Today
- Yesterday
- java
- 글쓰기미션
- 모의면접준비
- CS
- 객체지향
- 월간회고
- python
- OS
- 회고
- 인증
- Transaction
- React
- 코드스쿼드
- 학습로그
- JS
- 운영체제
- 개발공부일지
- 우아한테크코스
- 우테코수업
- Spring
- DB
- JPA
- 내부코드
- TCP/IP
- TIL
- 마스터즈코스
- 알고리즘
- 네트워크
- 카카오
- javascrip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