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기존 오해하고 있던 개념
가상메모리라는게 CPU가 바라보는 메모리이다. 이것은 각 프로세스가 RAM 메모리만큼을 다 쓰는 거라고 알고 있다. 그렇다면 같은 RAM을 사용한다면 그 프로세스의 가상메모리 크기는 같을 것이다. 라고 생각했다.
- 올바른 개념
그 프로세스가 실행되는데 필요한 메모리의 크기를 의미한다. 각각의 프로세스는 본인이 실행되기 위해서 필요한 메모리를 가진다. 필요한 메모리를 다 사용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가상메모리이다. 따라서 실제 주 메모리보다 큰 영역의 메모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VIRT는 프로세스가 전에 사용했던 가상 메모리의 전체 크기를 말한다. code, data, shared library 등을 포함한다.
정리
리눅스와 관련된 포스팅 발표를 들으면서 또 잘못알고 있던 가상메모리 개념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다시 개념을 이해하니 이제야 이게 왜 나왔는지 이해가 되는 듯 하고, 다른 내용들과 맞아들어가는 것 같다.
참고
https://knight76.tistory.com/entry/TOP-을-통해-본-리눅스-메모리
가상메모리 위키
'Computer Science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표] 가상메모리 테코톡 (3) | 2021.10.24 |
---|---|
동시성(Semaphore, Monitor, 전통적인 문제 3가지) (1) | 2021.06.15 |
내가 잘못 알고 있던 OS 지식 (0) | 2021.01.22 |
운영체제 시리즈 마무리 (0) | 2021.01.16 |
운영체제 시리즈 16. 웹캐싱 (0) | 2021.01.1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JS
- 운영체제
- 내부코드
- 학습로그
- javascript
- TIL
- 인증
- Transaction
- OS
- 마스터즈코스
- 우아한테크코스
- 네트워크
- JPA
- TCP/IP
- 카카오
- 우테코수업
- 월간회고
- Spring
- 모의면접준비
- React
- 알고리즘
- python
- java
- 글쓰기미션
- 객체지향
- 코드스쿼드
- CS
- 개발공부일지
- DB
- 회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