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bin 폴더

binary 파일이 있는 곳

우분투

리눅스 운영체제 가장 유명한 배포판

GPU(Graphic Processing Unit)와 CPU(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GPU의 성능지표는 동일하다.

1. 클럭(동작속도)의 수치 2. 코어의 수 3. 캐시메모리의 용량

 

- CPU : 직렬(순차) 처리 방식에 특화되어 있다. 직렬처리에 최적화 된 복잡한 연산이 가능한 몇 개의 코어로 구성된다. 절반 정도가 캐시로 구성되며 ALU가 상대적으로 적다.

 

- GPU :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병렬 처리 방식에 특화되어 있다. 병렬처르용으로 다수의 소형 크기의 효율적 코어로 구성된다. 반복적이고 비슷한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에 많이 사용된다. 캐시가 적고 ALU가 많은 편이다.

 

- GPGPU(General-Purpose computing on Graphics Processing Unit) : GPU가 이미지 연산 뿐만 아니라 CPU가 담당하는  응용프로그램 연산까지 확장되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온 프레미스(On-Premise)

클라우드 등이 원격환경이 아닌 개인이나 기업 자체 전산실 서버을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물리 서버의 형식이다.

모놀리식(Monolithic)

한 덩이로 묶여 이루어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이다. 모든 비지니스 로직이 한 애플리케이션 안에 포함된다. 하나로 관리하여 상대적으로 초기에 쉽게 구조화하고 개발하기에 편하다. end-to-end 테스트가 용이하다. 모듈화가 불가하고 작은 수정사항에도 전체를 다시 빌드하고 배포해야 한다.

마이크로서비스

소프트웨어가 잘 정의된 API로 통신하는 소규모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모듈화가 되어 있어 서비스별로 개발이 가능하다.

리눅스 네임 스페이스

리눅스 커널에서 독립적인 공간으로 서로 간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리눅스 컨트롤 그룹(cgroup)

CPU 시간,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과 같은 자원이나 자원의 조합을 시스템에서 실행중인 사용자 정의 그룹(프로세스)간에 할당이 가능하다.

 

docker는 리눅스 커널 구조를 활용하는데 그 중 리눅스 네임 스페이스, 리눅스 컨트롤 그룹을 활용한다.

쿠퍼네티스

배포, 스케일링,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의 관리를 자동화 해주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엔진이다.

docker의 이미지

컨테이너를 만드는데 필요한 모든 종속성 및 정보를 포함한 패키지이다.

docker의 컨테이너

docker 이미지의 인스턴스 이다.

Apache

apache HTTP 서버는 유명한 HTTP 웹 서버이다.

Tomcat

웹 서버와 연동하여 실행할 수 있는 자바 환경을 제공하여 자바 서버페이지(JSP)와 자바 서블렛(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 서버측 프로그램)이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Hypervisor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이다. hypervisor OS와 가상머신의 리소스를 분리해 VM의 생성과 관리를 지원한다. hypervisor로 사용되는 물리 하드웨어를 호스트라고 하고, 리소스를 사용하는 여러 VM을 게스트라고 한다. OS와 커널이 모두 가상화된다.

 

반면, Container 방식은 호스트의 PC 커널을 공유하고 filesystem을 가상화한 것이다. 따라서 docker는 VM보다 훨씬 가볍다.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 명령어 - 로컬, 리모트 브랜치 관리  (0) 2021.03.24
암호학의 기본 개념  (0) 2021.01.04
정규표현식 (Regular Expressions)  (0) 2020.12.2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